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에 대한 뇌영상 연구
조선희 / 이민주 / 최유용/ 김희백 / 이건호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한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조선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과학발명반집단(n=13)과 일반 고등학생집단(n=13)을 대상으로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을 제시하고 뇌활동성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창의력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과학발명반집단은 창의적 성격검사(WKOPAY, SAM) 점수가 상위 96%이내였으며 일반집단은 보통 수준이었다.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IAPS사진) 제시 시 뇌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발명반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중간측두이랑(MTG)과 상측두이랑(STG) 영역 등에서 뇌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검사점수와 뇌활동성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MTG, STG 영역 등에서 유의적인 상관도(p<0.005)를 나타내었다. 특히 흥분의 측면보다는 기분(유쾌/불쾌)의 측면에서 유의적인 상관도를 보이는 영역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감수성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과학적 창의력, 과학영재, 정서적 감수성, 뇌활동성, 뇌영상기술
조선희 / 이민주 / 최유용/ 김희백 / 이건호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 한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조선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창의력과 정서적 감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과학발명반집단(n=13)과 일반 고등학생집단(n=13)을 대상으로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을 제시하고 뇌활동성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외 창의력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과학발명반집단은 창의적 성격검사(WKOPAY, SAM) 점수가 상위 96%이내였으며 일반집단은 보통 수준이었다. 정서를 유발하는 시각자극(IAPS사진) 제시 시 뇌활동성을 분석한 결과 과학발명반집단은 일반집단에 비해 중간측두이랑(MTG)과 상측두이랑(STG) 영역 등에서 뇌활동성이 높게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검사점수와 뇌활동성 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MTG, STG 영역 등에서 유의적인 상관도(p<0.005)를 나타내었다. 특히 흥분의 측면보다는 기분(유쾌/불쾌)의 측면에서 유의적인 상관도를 보이는 영역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적 창의력이 높은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정서적 감수성이 발달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과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정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과학적 창의력, 과학영재, 정서적 감수성, 뇌활동성, 뇌영상기술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0권2호_503_526[칼라].pdf (1.8M)
31회 다운로드 | DATE : 2010-09-10 15:48:20
- 이전글초등 과학 최상위권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성별 특성 10.09.10
- 다음글SSC(Small-Scale Chemistry)실험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창의적 성격 특성 및 과학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10.09.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